본문 바로가기

dev.

(140)
[Linux] watch 명령어, 사용법 저번에 while 문을 활용해서 반복적으로 상태값을 체크한 것에 이어 더욱 간편하게 모니터링을 할 수 있는 명령어가 있길래, 정리해보려고 합니다. watch watch 명령은 원하는 명령어의 결과를 원하는 시간(초)를 주기로 터미널을 리프레시하여 결과를 보여주는 명령어 입니다. 특정 명령어를 반복적으로 입력하여 실시간으로 결과를 확인해야 할 때나 모니터링 해야하는 경우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명령어 입니다. watch 옵션 -d : 이전 출력결과와 비교하여 변경된 부분을 표시 -n : 입력한 명령어의 결과를 원하는 초단위로 출력 (default 2초) 예제 : 3306으로 ESTABLISHED로 연결되어있는 포트의 상태를 확인 watch -d -n 1 "ss -na | grep EST | grep 33..
[Linux] 터미널에서 반복문 사용하기 서비스가 실행중인 포트의 상황을 확인하기 위해서 계속해서 명령어를 치기 귀찮았던 상황.. 구글링을 해보니 터미널에서 while문을 실행해서 반복적으로 원하는 명령어를 실행할 수 있다는 것을 알아냈습니다. 이렇게나 모르는게 많다니.. 사용 배경 DB 포트로 ESTABLISED 되어있는 개수를 지속적으로 확인해야 할 때 부하테스트 중 해당 포트로 붙어있는 세션 개수를 지속적으로 확인해야 할 때 위와 같은 상황에서 반복적으로 명령어를 실행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다른 상황에서도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을 거 같아 정리합니다. 예제 1) 3306으로 ESTABLISED 상태로 붙어있는 특정 포트의 상태를 1초마다 확인하는 while문 # 3306으로 ESTABLISHED 되어있는 포트 검색 nets..
[Linux] grep 명령어로 파일에서 원하는 행만 추출하기 회사에서 로그파일을 뒤지던 중... 옆에서 보고있던 대리님께서 보다 쉽게 원하는 로그를 확인할 수 있는 꿀팁을 알려주셨습니다. 몇시간 분량의 로그파일을 뒤지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었는데 이 방법을 통해서 앞으로 보다쉽게 로그를 확인할 수 있을 거 같아 메모 용도로 작성해봅니다.ㅎㅎ 예제) test.log 파일을 생성하고 grep 명령어를 활용합니다. 위 내용을 가진 로그파일에서 grep을 활용하여 Member로 시작하는 행만 따로 파일로 만들어 보겠습니다. Member로 시작하는 행만 가져온다면 Member 1 one Member 2 two Member 3 three Member 4 ffffffff 다음과 같은 내용만 가져와져야 합니다. grep 명령어 사용방법 # grep [원하는 문자열] [검색할 파..
[Java] BiFunction 인터페이스 BiFunction 인터페이스란 ? BiFunction Interface는 함수형 인터페이스로 java 1.8부터 사용되며 두 개의 매개변수를 전달받아 결과값을 생성하는 함수를 나타냅니다. BiFunction.java @FunctionalInterfase public interface BiFunction{ R apply(T t, U u); default BiFunction andThen(Function
[Database] H2 Database mac 설치 방법 & h2 데이터베이스 연결 안되는 에러 해결 H2 database mac m1에 설치하는 방법 http://www.h2database.com/html/main.html H2 Database Engine H2 Database Engine Welcome to H2, the Java SQL database. The main features of H2 are: Very fast, open source, JDBC API Embedded and server modes; in-memory databases Browser based Console application Small footprint: around 2.5 MB jar file size Supp www.h2database.com 위 링크에 접속하면 다음과 같은 화면이 나오고 여기서 빨간색으로 표시된 부..
[Linux] 파일, 폴더 개수 확인하는 명령어 리눅스 서버에서 작업하다보면 폴더 내의 파일의 개수를 세어야 한다던지 폴더의 개수를 세어야하는 일이 발생합니다. 그 때 사용하는 명령어에 대해서 정리하였습니다. 파일, 폴더 개수 확인하는 명령어 현재 위치에서 폴더의 개수 ls -l | grep ^d | wc -l 현재 위치에서 파일의 개수 ls -l | grep ^- | wc -l 현재 폴더의 하위 파일의 개수 find . -type f | wc -l
[IT 개념] 리눅스 데몬(Daemon) 이란? 회사에서 작업을 하던 도중, ps-ef란 명령어로 daemon을 확인할 수 있다는 얘기를 들었고, 여기서 데몬이 뭘까 기록하기 위해서 데몬에 대해서 찾아보게 되었습니다. 데몬 이란? (Daemon) 운영체제에서 사용자가 직접 제어하지 않고, 백그라운드에서 여러 작업을 행하는 프로그램을 뜻합니다. 메모리에 머무르고 있으며 특정 요청이 올 때 그에 대한 대응을 할 수 있도록 대기 중인 프로세스를 말합니다. 데몬의 특징 MS윈도우의 서비스와 유사 보통 리눅스 시스템의 1번 프로세스인 init(PID=1)이 실행 데몬 프로그램의 명령어는 'd'로 종료 부모 프로세스가 없고 대부분 프로세스 트리에서 init 바로 아래에 위치 fork off and die : 데몬이 되는 방법 일반적으로 자식 프로세스를 fork하..
[JAVA/자바] 문자열 인코딩 변환 - String getBytes() String 문자열에서 'euc-kr'로 바이트 배열 인코딩 String str = "hi" byte[] strBytes = str.getBytes("euc-kr"); ISO-8859-1로 인코딩된 문자열에서 UTF-8로 인코딩 변환 data = new String(data.getBytes("ISO-8859-1"), "UTF-8");